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뵈요 vs 봬요, 헷갈리는 맞춤법 정확하게 구분하기

by id1 2025. 7. 21.

일상 대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존댓말 표현 중 하나인 ‘뵈요’와 ‘봬요’. 둘 다 예의 바른 인사를 표현할 때 쓰이지만, 실제 표기에서 어떤 것이 맞는지 헷갈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뵈요 vs 봬요, 헷갈리는 맞춤법 정확하게 구분하기
뵈요 vs 봬요, 헷갈리는 맞춤법 정확하게 구분하기1

 

되요 돼요

 

결제와 결재의 차이

 

 

오늘은 ‘뵈요’가 맞는 표현임을 문법적 근거와 함께 설명드리고, 자주 실수하는 이유와 예시까지 정리해드립니다.

 

1. 결론: 뵈요가 표준어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뵈요’가 맞는 표기이며, ‘봬요’는 문법 구조상 잘못된 형태입니다. 발음은 비슷하게 들릴 수 있지만, 철자 표기는 명확하게 구분되어야 합니다.

2. 왜 뵈요가 맞을까?

어원과 활용 구조

‘뵈요’는 동사 ‘뵈다’의 활용형입니다. ‘보다’의 높임말인 ‘뵈다’는 다음과 같은 활용 과정을 거칩니다:

  • 어간: 뵈-
  • 어미: -어요
  • 결합: 뵈 + 어요 → 뵈어요 → 뵈요 (축약형)

한글 조합 원리

‘뵈’는 자음 ㅂ + 복합 모음 ㅚ(ㅗ+ㅣ)의 정상적인 조합입니다. 반면 ‘봬’는 자음과 복합모음(ㅙ)의 비문법적 결합으로 구성상 맞지 않습니다.

 

3. 봬요는 왜 틀릴까?

‘봬요’는 보기에는 자연스럽지만, 한글 자모 결합 원칙에 어긋나는 표기입니다. ‘ㅙ’는 이미 복합모음(ㅗ + ㅐ)이기 때문에 추가 어미 결합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봬요’는 문법적으로도, 맞춤법상으로도 인정되지 않습니다.

4. 뵈요의 올바른 예시들

표준 표현

  • “내일 다시 뵈요.”
  • “곧 뵈겠습니다.”
  • “오늘 뵈어서 정말 반가웠습니다.”

틀린 표현

  • “내일 봬요.” ❌
  • “곧 봬겠습니다.” ❌

 

5. 뵈요 활용형 정리

시제 활용형
현재 뵈어요 / 뵈요
과거 뵈었어요
미래 뵐게요
격식체 뵙겠습니다

6. 왜 많은 사람들이 봬요라고 쓸까?

  • 발음 혼동: ‘뵈요’와 ‘봬요’는 말할 때 거의 같게 들림
  • 시각 혼동: ‘ㅙ’와 ‘ㅚ’가 비슷하게 보여 혼동
  • 교육 부족: 실질적 설명 없이 암기로 외우다 보니 오류 발생

7. 헷갈릴 땐 이렇게 구분하세요

① 어원으로 확인

‘보다’ → ‘뵈다’ → 뵈 + 어요 → 뵈요 (정답)

② 사전 확인

표준국어대사전에 등록된 표기는 ‘뵈요’뿐입니다. ‘봬요’는 등재되어 있지 않습니다.

③ 맞춤법 검사기 활용

워드프로세서,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등을 이용하면 ‘봬요’가 틀렸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8. 실제 상황에서 ‘뵈요’ 사용하는 팁

이메일·문서 작성

  • “내일 회의 때 뵈요.”
  • “출장에서 뵈어서 반가웠습니다.”

고객 응대

  • “곧 다시 뵐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시간 내주셔서 감사하고, 다음 주에 뵈요.”

 

9. 비슷하게 혼동되는 표현들

012345678910111213
뵈요 vs 봬요, 헷갈리는 맞춤법 정확하게 구분하기2

  • 돼요 vs 되요 → ‘돼요’가 정답
  • 안돼요 vs 않되요 → ‘안돼요’가 맞음
  • 왠지 vs 웬지 → 상황 따라 다르며 정확히 구분 필요

 

마치며

‘뵈요’는 문법적으로도, 표기상으로도 맞는 표현입니다. 반면, ‘봬요’는 허용되지 않는 비표준 표기이므로 사용을 피해야 합니다.

 

정확한 맞춤법 사용은 일상 속 언어 습관을 품격 있게 만드는 작은 차이입니다. 오늘부터는 “뵈요”만 쓰는 정확한 소통을 실천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