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돼요 vs 되요 헷갈리는 맞춤법 총정리|단번에 구분하는 핵심 정리

by id1 2025. 7. 21.

‘돼요’와 ‘되요’는 한국어 맞춤법 중 헷갈리기 쉬운 대표적인 표현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일상 대화나 글쓰기에서 무심코 ‘되요’라고 쓰곤 하지만, 표준어는 '돼요'입니다. 

돼요 vs 되요 헷갈리는 맞춤법 총정리|단번에 구분하는 핵심 정리
돼요 vs 되요 헷갈리는 맞춤법 총정리|단번에 구분하는 핵심 정리1

 

결제와 결재 차이

 

뵈요 봬요

 

 

왜 ‘돼요’가 맞고 ‘되요’는 틀린지, 그 원리부터 활용 예시, 구분 팁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1. 결론부터 말하면? ‘돼요’가 맞습니다

‘되요’는 실제 발음과 혼동되어 자주 쓰이지만 표준 맞춤법상 틀린 표현입니다. ‘돼요’는 ‘되다’의 활용형인 ‘되어요’의 축약형으로, 문법적으로도 음운 변화상으로도 맞는 형태입니다.

2. 문법적 원리로 보는 돼요

축약 원리 이해하기

동사 ‘되다’의 어간 ‘되-’에 어미 ‘-어요’가 결합되어 ‘되어요’ → ‘돼요’로 축약됩니다. 이는 ‘하여요 → 해요’와 같은 원리입니다.

활용 단계 예시

  1. 되다 → 되- (어간 추출)
  2. 되- + -어요 → 되어요 (어미 결합)
  3. 되어요 → 돼요 (축약 발생)

 

3. 틀리기 쉬운 표현과 정답 예시

잘못된 표현 올바른 표현
안되요 ❌ 안 돼요 ⭕
잘되요 ❌ 잘 돼요 ⭕
못되요 ❌ 못 돼요 ⭕
어떻게 되요? ❌ 어떻게 돼요? ⭕

 

4. 구체적 사용 예시로 익히기

일상 대화 속 '돼요'

  • “오늘 약속 몇 시에 돼요?”
  • “그렇게 하면 안 돼요.”
  • “이 일은 생각보다 잘 돼요.”

격식체 예문

  • “이러한 절차는 승인되지 않습니다.”
  • “해당 계획은 잘 되었습니다.”

5. 왜 ‘되요’라고 자꾸 쓰게 되는 걸까?

  • 발음 유사성: '돼요'는 실제 발음이 [되요]처럼 들림
  • 시각적 착각: ‘ㅙ’와 ‘ㅔ’는 자음 모양이 유사해 혼동됨
  • 학습 부족: 문법적 축약 원리를 배우지 못하고 단순 암기로 익힘

 

6. 확실하게 구분하는 2가지 방법

012345678910111213
돼요 vs 되요 헷갈리는 맞춤법 총정리|단번에 구분하는 핵심 정리2

① 원형 복원법

‘돼요’가 의심스러울 땐 원형으로 바꿔보세요.

예: “안 돼요” → “안 되어요” → “되다” → 돼요가 맞습니다

② 치환법

‘되다’를 ‘하다’로 바꿔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 “안 돼요” → “안 해요” (→ '하여요' → '해요')

같은 축약 원리로 ‘되어요’ → ‘돼요’가 맞는 형태입니다.

7. 돼요의 다양한 활용형

과거형

  • 됐어요 (되었어요의 축약형)
  • 안 됐어요 / 잘 됐어요

진행형

  • 되고 있어요 / 안 되고 있어요

미래형

  • 될 거예요 / 안 될 거예요 / 잘 될 거예요

8. 실전 맞춤법 문제로 연습해보기

다음 문장에서 올바른 표현을 골라보세요:

  1. 오늘은 약속이 어떻게 (되요 / 돼요)?
  2. 그렇게 하면 안 (되요 / 돼요)
  3. 이 일은 아주 잘 (되요 / 돼요)
  4. 계속 (되요 / 돼요)가 안 되네요

9. 관련 문법 규칙 요약

  • 되어 → 돼
  • 하여 → 해
  • 갖어 ❌ → 가져 ⭕

‘안 돼요’는 ‘안되요’가 아닌 두 단어를 띄어 써야 맞습니다

10. 기억하기 쉬운 암기법

연상법

‘되어요’에서 줄여서 ‘돼요’, 마치 ‘하여요’에서 ‘해요’가 되는 것처럼 생각하세요.

암기 구절

  • “안 돼요, 그렇게 하면 안 돼요!”
  • “잘 돼요, 모든 게 잘 돼요!”

 

결론

돼요되요는 발음은 비슷하지만, 맞춤법상 큰 차이가 있습니다. 올바른 표현은 항상 ‘돼요’이며, 이는 ‘되어요’의 축약형이라는 문법 원리에 기반합니다.

 

정확한 맞춤법은 글의 신뢰도를 높이고, 소통의 정확성을 지켜주는 기본입니다.

 

헷갈릴 땐 반드시 ‘되다’의 원형으로 돌아가 생각하세요. 이제 더는 ‘되요’로 쓰지 마세요. ‘돼요’만 기억하세요.